본문 바로가기
간호학과 공부노트/병리학

병리학 서론

by 하비™ 2024. 4. 3.
728x90
반응형

1. 병리학의 개념

1) 병리학의 영역

병리학(pathology)이란 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로, 특히 병을 일으킨 원인 또는 병에 의한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이 형태적,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좁은 의미로는 병변의 형태를 규명하고, 병태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분명히 하여 치료와 예방을 담당하는 기초의학의 한 분야이다. 즉, 병의 원인, 발생, 경과 등에 관한 연구를 학문 학문이다.

질병(disease)이란 신체의 일부 혹은 전체가 구조적, 기능적 장애를 일으켜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질병은 형태, 기능 이상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데, 기능 이상은 증상, 증후, 임상검사치 등 생리학적, 생화학적 변화를 가리킨다. 형태 이상은 육안적, 조직학적 병변으로 장기나 조직의 모양과 구조상의 변화를 가리킨다.

2) 병리학의 분류

병리학은 검사 대상이나 조직의 종류 또는 방법에 따라 분류한다. 인체병리학(human pathology)은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이나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얻은 인체 시료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실험병리학(experimental pathology)은 동물이나 배양세포 등을 재료로 하여 질병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임상병리학(clinical patholgy)은 임상검사를 기초로 하고 있는 체계적인 학문이다. 환자에게 채취한 검사물(혈액, 타액, 소변 등)을 분석한다. 해부병리학(anatomic pathology)은 수술, 부검 또는 생검 재료, 탈락세포 등을 이용하여 질병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검체와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외과 병리학(sugical pathology) 혹은 조직을 이용하여 진단하기에 조직병리학(histopathology)이라고도 한다. 병원에서 외과병리학을 담당하는 진료부서는 해부병리과 또는 진단병리과이며, 전문의를 해부병리의라고 한다.

 

2. 병인론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병인이라고 하며, 질병을 일으키는 인자와 이 인자에 감염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나, 이론, 질병의 원인을 연구하는 학문을 병인론 또는 병인학이라고 한다.

외인(extrinsic factor)은 생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요인, 즉 원인이 체외에서 작용하거나 체내에 침입해 질병을 유발하는 인자로 영양장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내인(intrinsic factor)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요인으로 소인, 유전, 연령, 성별 등이 있다.

1) 외인

(1) 영양장애 : 영양섭취(nutritional intake)는 생명 유지에 필요 불가결 하지만, 섭취 부족이나 과잉섭취 시에는 질병을 일으킨다.

(2) 물리적 요인 : 기계적 외상, 열적 요인, 기압적 요인, 음파, 전기적 요인, 광선, 방사선 등

(3) 화학적 요인 : 화학물질, 유기물, 가스, 치료의약품, 독소, 대기오염 등

(4) 생물학적 요인 : 바이러스, 세균, 진균, 원충, 리케치아, 기생충 등

(5) 사회·환경적 요인 : 사회·환경적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사고, 성폭행 등

2) 내인

(1) 소인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경향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체질을 소인이라고 한다. 소인에는 일반적인 소인과 개인적인 소인이 있다. 일반적인 소인은 연령, 성별, 인종, 조직 장기 등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 소인이며, 개인적인 소인은 유전, 체질 등의 전신적 요인이다.

예를 들어, 소아는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와 바이러스 감염이 많고 노인이 되면 고혈압과 당뇨 같은 만성질환이 많아진다. 성별에 따라서 남성은 동맥경화증, 통풍 등이 특히 많이 발생하고 여성은 면역질환과 갑상선기능항진증 등이 많이 발생한다. 인종에 따라서 백인은 흑색종, 유방암이 많고, 흑인은 녹내장, 버킷병 그리고 황인에게는 위암과 간암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3. 질병관의 변천

1) 액체병리학설

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질병의 증후를 객관적으로 관찰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질병의 본태를 4가지 체액, 즉 혈액, 점액, 황색담즙, 흑색담즙의 균형이 깨져서 일어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액체병리학설이라고 하며, 19세기까지 서양의학의 근본 사상을 이루고 있었다.

로마 시대의 갈레누스는 생명을 유지하는 근본 물질을 영기라고 하였으며, 히포크라테스의 4가지 체액 중에서 특히 혈액의 기능 저하를 병의 큰 원인으로 보고 액체병리학설을 집대성하였다.

2) 고체병리학설

그리스 의학을 로마에 전파한 아스클레피아데스는 우주가 원자의 이합집산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각 물체가 지니고 있는 성질이 다른 것은 이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모양, 크기, 질량, 운동 등에 차이가 있기 대문이라는 데모크리토스의 세계관에 입각하여 질병도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변성에 의해 일어난다는 고체병리학설을 주장하였다.

3) 장기병리학설

병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탈리아의 모르가니는 질병에 따라 특정한 장기나 조직에 일정한 자리, 즉 병소가 형성되는데 이 병소 때문에 임상증상이 나타난다는 장기병리학설을 주장하였다. 이때 형태학적인 표현방법으로는 병소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4) 조직병리학설

프랑싀 천재 학자 비샤는 질병은 모두 조직의 병적 변화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고 질병을 관찰할 때 장기보다 조직을 단위로 관찰해야 한다는 조직병리학설을 주장하였다.

5) 혈액병리학설

오스트리아의 로키탄스키는 질병의 성립에는 혈액 내의 성분이 커다란 역할을 한다는 혈액병리학설을 주장하였다.

6) 세포병리학설

독일의 피르호는 ‘모든 세포는 세포에서 유래한다’라는 명제 아래 질병은 1개의 세포 또는 세포군의 장애로 인해 일어난다고 보고 근대 병리학의 기초가 된 세포병리학설을 주장하였다.

 

4. 검체와 조직

1) 생검(biopsy)는 절제 생검, 절개 생검, 흡인 생검으로 나뉘며 환자로부터 병적 조직편 채취와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실시할 때 사용한다.

2) 동결절편검사(frozen section)은 수술 중의 응급조직검사 시 사용된다.

3) 수술 적출물의 조직 검사 : gross 검체, 육안, 진행과 침습

4) 세포진 검사(cytology), 탈락 세포병리검사는 탈락세포를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검사, 집단 암 건진에 흔히 사용한다. 조기 암 발견에 큰 기여를 하는데 가장 흔한 예시가 부인과에서 자궁목 세포도말검사라 불리는 Pap smear이다.

5) 부검(autopsy)

 

5. 병태생리학의 이해

병리학에서는 기본적인 구조적, 기능적 이상에서 임상소견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연구한다. 이 일련의 과정을 발병기전이라 하고, 이것을 연구하는 학문을 병태생리학이라고 한다. 병인학이라는 용어는 질병의 원인을 탐구하는 학문을 의미하거나, 대게는 단순히 질병의 원인을 지칭하기도 한다.

병태생리학은 복잡한 인체의 세계, 질병에 대한 인체의 반응 및 치료의 이유를 설명하는 데 기본이 된다. 병태생리학을 이해함으로써 특히 의사나 간호사들은 상황에 대해 더 예측하고 문제를 바로 잡고, 적절한 치료 및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건강과 질병에 대한 개념들은 복잡하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경외심을 일으킬 만큼 놀라운 세계를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728x90
반응형

'간호학과 공부노트 > 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 손상  (2) 2024.04.17
염증과 수복  (0)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