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조절과 무균법(1)
Ⅰ. 감염 감염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 있는 미생물, 즉 병원체가 신체 조직에 침투해 그 속에서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감염을 유발하는 주요 미생물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동물 등이다. 감염은 병원체가 숙주 내에서 성장하거나 증식함으로써 정상조직을 손상시키거나 기능 변화를 초래하는 것이고,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뚜렷이 감지될 때 감염은 질환이 된다. 1. 감염회로 감염은 일련의 회로가 완성될 때 발생하는데 감염예방 및 조절을 위해서는 감염회로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1) 감염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인자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을 말한다. 2) 저장소 미생물의 성장과 증식을 위한 자연 서식지로 사람, 동물과 곤충, 토양, 그 밖의 저장소가 해당된다. 간호사 또한 ..
2024. 4. 24.
건강
1. 건강과 질병의 개념 1) 건강의 정의 건강은 과거에는 주로 신체적 건강에 국한된 질환이 없는 상태로 정의하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948년 “건강이란 단지 질환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2) 질병의 정의 질병(illness)는 사람의 신체적, 정서적, 지적, 사회적, 발달적 또는 영적 기능이 이전 상태와 비교하여 감퇴되거나 손상된 상태를 말한다. 질병과 질환은 동의어가 아니며 질병은 질환에 대한 아주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반응을 말한다. 개인마다 독특하게 나타나며 개인과 타인의 지각, 개인의 역할, 관계, 문화, 정신적 가치, 신념 등의 변화로 나타난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 질환(dise..
2024.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