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간호학과 공부노트110

접미사 1. 접미사 접미사는 단어의 끝에 붙는 단어의 요소로 어근 뒤에 위치하며 단어의 뜻을 변화시킨다. 접미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① 행위나 상태를 의미하는 접미사 ② 상태나 질병을 나타내는 접미사 ③ 위치, 수, 질을 의미하는 접미사 ④ 의학분야를 나타내는 접미사 ⑤ 치료 및 절차를 나타내는 접미사 2. 접미사 개요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al -ic -ous ~와 관련된 2 -itis 염증 3 -pathy 질병 4 -logy ~에 관한 학문 5 -meter 측정 6 -scope 관찰 기구 7 -scopy 관찰 절차 3. 행위나 상태를 의미하는 접미사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dorme 흐르다 syndrome, 특정 장애나 상태나 질병을 의미하는 전형적인 일군의 증상들 2 -e.. 2023. 10. 11.
단어의 요소와 단어 구성의 이해 1. 의학용어 의학용어는 실용 언어이다.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의료계의 국제적 통용 언어이자 과학적 학문이다. 의학용어를 통해 의료인은 정확한 의사소통을 전달할 수 있고, 고유성과 전문성을 갖기에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 규칙성이 있기에 용어의 뜻을 대략적으로 예견할 수 있다. 2. 조합어와 비조합어 1) 조합어 많은 의학용어는 조합어이며,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 위해 여러 개의 단어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2) 비조합어 단어 요소로 구성된 것이 아닌 단어를 말하는데, 단순 단어(유래어)와 약어가 있다. 유래어는 사람의 이름으로부터 유래된 경우가 많으며 약어는 복잡한 긴 용어의 첫 글자만을 연결해서 붙인 용어를 말한다. 3. 의학용어의 구성 요소 1) 어근(root) : 용어의 뿌리.. 2023. 10. 10.
뇌사와 연명의료 중단 1. 생명윤리 문제와 법 가. 뇌사와 장기이식의 법적문제 1950년대 이후에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하는 심폐기의 발전으로 심정지 상태에서도 사람이 살 수 있게 되면서부터 구체화되었다. 1968년 제22차 세계의학총회에서 채택한 시드니 선언은 인공심폐술의 발달과 장기이식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뇌사를 새로운 죽음의 기준으로 판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이후 뇌사는 의학적으로 중요한 죽음의 기준으로 정해졌다. 뇌사 판정의 기준으로 가장 오래되고 엄격한 기준은 1968년 하버드 의대에서 마련된 기준이다. 여기에서 제시한 뇌사 판정의 기준은 ‘중추신경계 억제 약물의 사용이 없고, 저체온이 없는 상태에서 자극에 대한 무반응, 자발적 호흡 상실, 동공반사 소실, 평편한 뇌파의 존재 등이 24시간 지속되는 경우 뇌사로 판정.. 2023. 10. 9.
생명윤리와 간호 1. 윤리학 간호윤리학 개론 가. 윤리학 윤리학이란 일반적으로 ‘도덕의 본질과 근거에 관한 철학적 탐구’라고 정의하고 있다. 윤리학은 ‘우리가 행동이나 행위의 옳고 그름의 기준은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하는 것을 선하다고 할 수 있는가’와 같이 도덕에 관하여 근본적으로 묻고 탐구하는 학문 분야를 도덕철학(moral philosophy) 또는 윤리학(ethics)이라고 한다. 윤리학은 ‘행위 일반의 원리’이며 ‘실천 철학’이다. 윤리학은 고대 그리스인들에 의해 철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윤리적 문제를 탐구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한 이후 아리스토텔레스가 독자적인 학문으로 정립하였다. 에티케 테오리카(ethike theoria)라는 명칭은, 기질(sinnesart)와 성격(chr.. 2023. 10. 6.
도덕성, 자율성, 온정주의 1. 도덕성 가. 도덕적 관점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덕성이라는 것을 마치 성장 과정에서 모국어를 배우듯이 실제 삶을 통해 생활 속에서 터득하고 도덕성을 배우는 것으로 알고 있다. 도덕적 가치관이나 원칙들의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거나 나의 것으로 받아들일 것인지의 여부를 심사숙고하기 전에 이미 나의 것으로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임상현장에 있는 간호사들은 타인의 삶의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합리적인 논쟁에서 자신의 신념을 옹호할 능력이 부족하다면 환자의 옹호자 역할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나. 도덕적 의사결정 방법 1) 도덕 문제의 파악과 정의 임상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것이 완전하게 간호학적 전문성과 관련되는지 아닌지를.. 2023. 10. 6.
림프계통과 면역계 가1. 림프계통 우리 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그 외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들에게 둘러싸여 있는데, 이런 것과 같이 신체 병을 일으키는 것을 방어하는 세포 집단을 면역계라고 말함. 림프계통의 기능은 크게 체액량 회복 및 점검, 병원균이 없도록 유지, 면역반응 활성화, 체액을 순환혈액 내로 유입시키는 조직, 기관, 관의 망 역할을 함. 림프계통의 구성요소는 혈장과 비슷하지만 혈장보다 단백질이 적고 투명한 색인 림프(lymph)와 림프관(lymphatic vessel), 림프조직(lymphatic tissue), 림프기관(lymphatic organ)으로 이루어짐. 가. 림프계통의 기능 1) 체액량의 회복(fluid recovery) 체액은 지속적으로 모세혈관에서 조직 공간으로 여과됨. * 체액의 양은.. 2023. 10. 5.
순환계통 - 혈관 1. 혈관의 일반 해부학 가) 혈관벽(The Vesel wall) 1) 내막(속막) 혈관 안쪽에 있으며 혈액에 노출되어 있음. 단층편평상피(내피)로 이루어지고 기저막이 내피를 덮고 있음. 2) 중막(중간막) 대체로 가장 두꺼우며 평활근과 콜라겐, 탄력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음. 혈관을 강화하여 혈압에 의해 혈관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축과 확장을 할 수 있게 함. 3) 외막(바깥막) 주변의 조직과 섞이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음. 4) 모세혈관 내막 한 겹으로 가장 얇은 벽으로 구성되어 있음. ■ 용적과 압력 이해하기 : 용적이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용적이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함. 즉, 용적과 압력은 서로 반비례하는 관계임. 2. 순환생리학 가. 혈압(Blood pressure, BP) 1) .. 2023. 10. 4.
생명윤리 이론과 법률 1. 윤리 이론 우리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윤리적인 판단을 내리고 그에 따른 행동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윤리적 판단과 행동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사고는 윤리적 사고 또는 윤리적 추론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음 단계는 윤리적 규칙인데, 이때 특정한 상황에서 선택해야 할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윤리 규칙은 윤리 원칙에 기본을 두고 있으며 윤리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윤리 규칙은 어떤 행동을 하기 위해 판단 내리는 데 옳고 그른 것을 분별할 수 있게 하여 행동에 옮길 것인지 아닐 것인지를 일깨워 준다. 윤리적 판단과 행동 → 윤리 규칙 → 윤리 원칙 → 윤리 이론의 흐름은 정당화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윤리 이론 → 윤리 원칙 → 윤리 규칙 → 윤리적 판단과 행동의 흐름.. 2023. 10. 2.
생명윤리 개론 1. 생명의료 윤리와 생명권 인간의 생명은 소중하게 여겨져야 하고 존중되어야 하며,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하는 데 있어 자율성과 함께 치료를 선택하고 거부하는 권리까지도 존중되어야 한다. 임상시험에 참여하게 되는 대상자는 자신의 의사에 따라 임상시험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결정에 대해서는 존중되어야 한다. 인간의 생명권과 관련하여 안락사, 존엄사 그리고 뇌사 등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72년 미국 병원협회에서는 환자의 권리장전을 제정한 바 있다. * 참고1 이 권리장전 전반에 걸쳐 강조되는 것 역시 환자는 자신에 대한 치료를 받을 때 정보와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보호받을 권리를 강조하고 있다. 환자의 권리에 관한 내용은 리스본 선언에도 잘 나타나 있다. * .. 2023. 9. 28.
순환계통 - 심장 1. 심혈관계통의 개요 가. 폐순환과 체순환(The Pulmonary, Systemic Circults) 1) 폐순환(허파순환) - 폐로 혈액을 보내어 가스 교환 후 심장으로 보냄. - 폐순환 담당 : 심장의 오른쪽 부분 * 우심방에서 우심실 -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유입하고 배출함. 2) 체순환(온몸순환) - 폐와 심장 그리고 모든 신체 기관에 혈액을 공급함. - 체순환 담당 : 심장의 왼쪽 부분 * 좌심방에서 좌심실 -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유입하고 배출함. 3) 심장은 80년 동안 75회/min을 뛴다고 가정할 때 30억 회 이상 뛰며 2억 리터 이상의 혈액을 펌프함. 나. 심장 1) 심장의 위치 - 흉골(복장뼈, sternum) 아랫 부분 + 흉강의 종격(두 허파 사이 세로칸, mediastinu.. 2023. 9.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