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8

임신중절, 생명권과 자율성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본 글은 개인적인 견해이며, 특정인 혹은 단체를 비방할 의도는 전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임신중절은 태아가 생존 능력을 갖추기 이전의 임신 시기에 약물적으로 또는 수술적으로 임신을 종결시키는 시술을 말한다. 이 정의에 대해서는 태아의 생명권, 여성의 자기 결정권 등 많은 함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오랫동안 전 세계적으로 치열하게 논쟁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신중절에 관한 법적 기준을 형법에서 제시하고 있었다. 형법 제269조(낙태) 제1항은 “부녀가 약물 기타 방법으로 낙태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였으나, 2019년 4월 11일에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받았다. 따라서, 해당 조항에 대한 효력이 전부 상실되었고 2020년 12월 31일까지 개정해.. 2023. 11. 13.
누군가는 짚고 넘어가야 하는 진실, 동성연애 해당 글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이며, 특정 단체 혹은 집단을 비방할 의도는 전혀 없습니다. 필자 본인은 동성연애 반대의 입장이며, 정확히는 동성연애가 일반화되는 것에 반대 입장이다. 내가 단순히 동성연애를 반대하는 것이 아닌 동성연애가 일반화되는 것에 반대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 동성연애에 대해 찬성하고 동성연애가 일반화된다면, 동성애자들은 이성애자들과 마찬가지로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해 혼인과 같은 권리를 얻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권리를 얻게 된다면 생기는 문제점이 크고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기 때문에 동성연애를 반대하는 것이다. 더 자세한 이유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야기할 수 있다. 1) 현행 법률의 측면, 2) 보건학적인 측면, 3) 사회적 영향력이다. 헌법 제10조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 2023. 11. 10.
비뇨계통 1. 비뇨기계의 기능 비뇨계통(urinary system)은 2개의 신장(kidney), 2개의 요관(ureter), 방광(urinary bladder) 그리고 요도(urethra)로 이루어져 있다. 1) 신장의 기능 ①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노폐물과 독소 같은 외부 물질 제거 ② 식사와 배설의 균형을 통해 혈액량과 전해질 조절 ③ 수소 배설을 통해 pH를 조절하여 항상성 유지 ④ 호르몬 생산을 통해 레닌 분비로 혈압을 조절하고, 적혈구 형성인자(에리트로포이에틴, EPO)를 분비하여 적혈구 생성을 조절하여 혈액에 산소운반 능력을 도우며, 칼시트리온 합성에 관여하여 혈중 칼슘농도 조절(칼슘의 항상성 유지 및 뼈 대사 조절) 2. 신장의 구조 1) 해부학적 구조 하나의 신장(kidney)은 약 무게 150g,.. 2023. 11. 8.
근골격계 1. 해부와 생리학 용어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musculoskeletal 근골격 2 bone 뼈 3 compact bone 치밀골 4 periosteum 골막 5 diaphysis 골간 6 epiphysis 골단 7 cranium 두개골 8 clavicle 쇄골 9 humerus 상완뼈 10 phalanges 수지골 11 sacrum 천골 12 femur 대퇴골 13 biceps 이두근 14 rectus 직근 15 gastrocnemius 비복근 16 deltoid 삼각근 17 sternocleidomastoidmuscle 흉쇄유돌근 2. 골격과 근육계 증상과 징후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arthralgia 관절통 2 ataxia 운동실조증 3 atrophy 위축 4 brad.. 2023. 11. 6.
동의서, 진실말하기와 비밀유지 1. 피험자 동의 연구책임자는 임상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IRB에서 정한 동의서 면제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피험자로부터 동의받거나 이를 문서화 하는 것을 고려하여 피험자에게 주어지는 동의서 서식, 피험자 설명서 및 기타 문서화 된 정보에 대해 IRB(기관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아야 한다. 피험자 동의는 피험자가 임상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를 결정할 때 피험자에게 임상 연구의 내용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동의를 구할 때 연구책임자와 연구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피험자 동의 시 연구책임자가 염두에 두어야 하는 내용 1) 피험자에 대한 동의는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만일 피험자가 법적으로 신체적으로 동의서를 제공.. 2023. 11. 3.
호흡계통 1. 호흡계통의 기능과 구조 1) 호흡계통의 기능 ㆍ 가스교환 ㆍ 의사소통 ㆍ 후각 ㆍ 산염기 균형 :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서 체액의 pH 조절을 도움. 과다한 이산화탄소는 물과 반응해서 산을 축적하며 pH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진 경우를 산증이라고 함. ㆍ 복부 내용물의 배출 : 발살바조작(Valsalva maneuver), 일시적으로 숨을 참는 것은 배뇨, 배변, 출산 동안의 복부 내용물을 배출함. 2) 호흡계통의 구조 ■ 상부호흡기계와 하부호흡기계 ① 상부호흡기계(Upper respiratory system) : 머리부터 인두까지 ② 하부호흡기계(Lower respiratroy system) : 후두덮개부터 폐까지 (1) 코 코의 콧대는 뼈로 형성되어 있어 있음. ① 부비동(paranasal sinus).. 2023. 11. 1.
인간 대상 연구윤리(2) 5) 왜 윤리가 중요한가? 왜 윤리가 중요한가라는 물음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 윤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① 분석과 결정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 ② 피험자를 보호해야 함을 상기시키고 이를 뒷받침한다. ③ 연구에 따르는 ‘위험{risk}과 이익{benefit}’을 실제적으로 규정함으로써 이들의균형을 맞추고 이익/위험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1) 이익 ① 연구과정 결과로 나타나는 긍정적인 결과를 의미한다. ② 이익의 가치나 혜택은 연구 참여자인 피험자에게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있는 기회를 주는 것과 같은 구체적인 이익일 수도 있고, 더 막연하고 일반적인 것일 수도 있는데, 연구 결과가 사회적·경제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주는 경우도 있다. (2) 위험 ①.. 2023. 10. 30.
인간 대상 연구윤리(1) 1. 인간 대상 연구 윤리 인간 대상 연구에 대해서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명시되어 있다. 제 2조(인간 대상 연구의 범위) 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 연구”란 다음 각 호의 연구를 말한다. 1. 사람을 대상으로 물리적으로 개입하는 연구 : 연구대상자를 직접 조작하거나 연구대상자의 환경을 조작하여 자료를 얻는 연구 2. 의사소통, 대인접촉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수행하는 연구 : 연구대상자의 행동관찰, 대면, 설문조사 등으로 자료를 얻는 경우 3.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연구 : 연구대상자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연구 인체실험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1. 생리적 기능 연구 건강한 일반인 혹.. 2023. 10. 27.
소화기계 1. 해부와 생리학 용어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digestive system 소화기계 2 GI 위장관 3 digestion 소화 4 tongue 혀 5 pharynx 인두 6 esophagus 식도 7 stomach 위 8 liver 간 9 duodenum 십이지장 샘창자 10 cecum 맹장 막창자 11 colon 대장 잘록창자, 결장 12 teeth 치아 13 palate 입천장 구개 14 uvula 목젖 15 ascending colon 상행결장 16 transverse colon 횡행결장 17 descending colon 하행결장 18 rectum 직장 2. 소화기계 증상과 징후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aphagia 연하불능 못삼킴증 2 ascites 복수 복강 내 액.. 2023. 10. 26.
호흡기계(2) 1. 호흡기계의 치료, 시술과 기구들 순 서 이 름 뜻 내 용 비 고 1 acid-fast bacilli smear 항산성바실러스균 시험 2 adenoidectomy 아데노이드 절제술 인두의 편도선 절제술 3 antihistamine 항히스타민제 4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가스검사 ABGA 5 aspiration 흡인 6 respiratory auscultation 호흡기계 청진 7 bronchodilation 호흡곤란 완화 8 bronchography 기관지조영술 9 bronchoscopy 기관지내시경검사 10 chest CT scan 흉부 CT 검사 11 chest X-ray 흉부 X-선 촬영 12 ears, nose and throat specialist 이비인후과 .. 2023. 10.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