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과 과제

[심리학] 다양한 심리학적 관점으로 동영상 속 인물 심리 분석 - '간호사가 말하는 잊을 수 없는 최고의 환자 BEST3' 중심으로

by 하비™ 2020. 4. 20.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vo2VG2GFS9A


심리학의 발달
1920년부터 현재까지 심리학은 꾸준히 발달해왔다. 오늘날 고도의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인간의 삶의 질과 관계된 문제들이 점점 더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또 이러한 문제에는 감각, 지각, 성격 등의 인간 특징들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인간의 심리적 원리를 밝히는 심리학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기대 덕분에 발달한 심리학은 생리, 감각, 지각 등의 기초심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임상, 상담 등의 응용심리학 분야를 통해 인문과학에서부터 자연과학까지 다양한 분야에 공헌하고 있다.

심리학의 다양한 관점
심리학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관점 또한 생겨났다. 생물학적 관점, 인본주의적 관점, 행동주의적 관점 등 여러 가지 관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생물학적 관점은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심리를 연구하는 영역으로서, 인간의 정신활동을 뇌와 신경계의 역할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또 인본주의적 관점은 사람과 환경의 영향, 경험 등의 주관적인 견해를 중심으로 하는 관점이다. 그리고 행동주의적 관점은 내성이 아닌 표면에 나타나는 행동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고, 자극과 자극에 대한 반응의 관계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관점이다.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대상을 관찰하면, 대상의 심리를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간호사가 말하는 잊을 수 없는 최고의 환자 BEST3’ 동영상 속 인물의 심리를 분석해보자.

 


첫 번째 사례 속 환자의 심리 분석
먼저, 첫 번째 사례이다. 첫 번째 사례 속 환자는 폐암 말기 환자로 임종을 앞두고 있다. 눈은 거의 초점이 없고 산소 포화도는 떨어져 손과 발끝이 파랗게 변해 있었고 가까스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사례 속 간호사는 담당 주치의의 말을 듣고 가족들에게 임종 사실을 알렸고 환자의 가족들은 환자의 죽음에 슬퍼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가족 중 딸이 오지 않았고, 환자는 딸을 이틀 동안 기다렸다. 이틀 만에 딸이 오자 두 시간 만에 환자는 임종을 맞이하였다.

첫 번째 사례 속 환자의 심리를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해보자. 사례 속 간호사의 관찰을 들어보면, 눈에는 초점이 거의 없어서 허공을 쳐다보았고, 딸 이야기가 아닌 다른 보호자의 말이나 행동에는 전혀 반응이 없다. 그리고 산소 포화도가 서서히 떨어져서 손과 발끝이 파랗게 변해가 있는 모습이다. 외면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는 환자의 모습과 행동을 보면, 힘겹고 고통스럽다고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보호자가 아닌 딸의 이야기에만 반응하는 것을 보면 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으며 행여나 딸이 오지 못할까 하는 불안한 심리라고 분석할 수 있다.

내인성 모르핀 - 엔도르핀

그러나 생물학적 관점으로 보면 환자의 심리는 달라진다. 환자는 고통스럽지 않은 상태에서 즐겁게 딸을 기다렸을 것이다. 왜냐하면, 뇌 속에 존재하는 내인성 모르핀인 엔도르핀 덕분이다. 엔도르핀은 스트레스에 대항하기 위해 뇌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통증, 불안 등을 경감시켜 즐거움과 진통 효과를 주는 물질이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포털 – 말기암환자』를 살펴보면, 임종이 가까울수록 더는 영양분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식욕 및 수분 섭취가 감소하는데, 이에 따른 탈수는 환자를 고통스럽게 하지 않으며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고 통증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쿄대 교수인 우에노 치즈코가 임종 현장을 직접 취재해 발간한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을 살펴보면, 임종 직전에는 뇌에서 엔도르핀이라는 천연 진통제가 한꺼번에 나와 모르핀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사례 속 환자는 고통스럽지 않고 즐거운 상태라고 분석할 수 있다.

처음 행동주의적 관점으로만 분석했을 때, 외면적인 부분만을 가지고 분석하기에 환자가 고통스러우며 애타고 불안한 심리라고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관점을 가지고 분석해보면, 행동주의적 관점과는 달리 엔도르핀 덕분에 고통스럽지 않고 즐거운 심리라는 정반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두 번째 사례 속 환자의 심리 분석
다음으로 두 번째 사례 속 환자의 심리를 분석해보자. 사례 속 환자의 상황을 정리하면, 간호사가 자신에게 정맥주사를 놓아야 하는 상황인데, 경험이 없던 간호사가 자신의 팔에 여러 번 주사를 놓았지만 실패했다. 이때 환자는 화를 내지 않고 오히려 간호사에게 마음껏 자신의 팔에 주사를 찔러보라며 자신감을 심어주었다. 그러자 환자의 말에 자신감을 얻은 간호사는 정맥 주사를 놓는 것에 성공한 상황이다.

이때 사례 속 환자는 어떤 마음으로 안 아프다며 자신의 팔을 간호사에게 내어줄 수 있었을까? 먼저, 행동주의적 관점으로 사례 속 환자를 분석해보자. 환자는 자신의 눈앞에서 간호사가 쉽게 정맥 주사를 놓지 못한 모습을 계속해서 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미안해하는 표정을 하고 선배 간호사의 눈치를 보는 간호사의 모습을 보았을 것이다. 자신의 눈 앞에 보인 간호사의 모습이 자극되어 환자는 간호사가 안타까운 심리였을 것이다.

따라서 이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간호사에게 미안해하지 말라며 마음껏 팔에 찔러보라고 말한 것이다. 이런 자극과 자극에 대한 반응을 바탕으로 보면, 환자는 눈치 보는 간호사가 안타까웠을 것이고 그런 간호사를 위로하고 배려하는 마음의 심리로 자신의 팔을 내어주는 것과 같은 행동을 하였을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세 번째 사례 속 간호사 심리 분석
마지막으로 세 번째 사례 속 간호사의 심리를 분석해보자. 사례 속 간호사의 상황을 정리하면, 간암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허리가 아픈 보호자를 대신해 환자에게 대변을 치우고 관장을 하였다. 이런 간호사의 모습을 본 보호자는 간호사에게 정말 고맙다고 말하였고, 이후에 칭찬카드를 받아 강단에 올라 대표로 표상을 받았다.

세 번째 사례 속 간호사의 행동주의적 관점으로 심리를 분석해보자. 과연 어떤 마음으로, 어떤 심리로 보호자를 대신해서 대변을 치우고 관장을 하였을까? 간호사의 말을 통한 행동을 보면, 몸이 아픈 보호자를 대신해서 관장하고 대변을 치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환자를 간호한다는 것을 떠나서 ‘대변과 관장’이라는 단어를 보고 드는 마음을 생각해보면, 지저분하고 피하고 싶다는 마음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사례 속 간호사의 행동을 보면 지저분하고 피하고 싶다는 마음을 확인할 수 없다. 오히려 몸이 아픈 보호자를 위한 배려심과 환자에 대한 책임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보호자를 배려한다는 마음과 환자를 간호해야 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마음을 가졌을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또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간호사의 심리를 분석해보자.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기에 앞서, 간호사가 겪은 경험과 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간호사의 인터뷰를 살펴보면, 2019년 당시 4년차 간호사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한 동기로 “신규 간호사 혹은 간호학과 학생에게 도움이 될 만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또한, “채널을 운영하면서 간호 업무를 소중하게 대하는 태도와 일상을 꼼꼼하게 바라보는 시선을 갖게 된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러한 간호사의 경험과 환경을 토대로 보면, 평소에도 간호 업무를 소중하게 대하였고 남을 위해 일하는 이타적인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영상 속 상황에서 간호사로서 간호 업무를 실행해야 한다는 책임감과 보호자를 배려하는 이타적인 마음을 가진 상태라고 분석할 수 있다.

 


심리학의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
위와 같이 심리학의 다양한 관점을 이용하면, 동영상 속 인물의 심리를 쉽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한 가지 관점만으로 심리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두 번째 사례와 같이 한 가지 관점만으로도 대상의 심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사례도 있다. 그러나 첫 번째 사례와 같이 관점에 따라 정반대의 분석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사례처럼 다양한 관점 덕분에 더욱 신뢰할 수 있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심리학적 관점들을 독립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상호보완적으로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상호보안적으로 생각하게 되면, 첫 번째 사례와 같이 더 정확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또 세 번째 사례와 같이 도출했던 관점에 더욱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덧붙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상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학적 관점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양미경. 『마음활용과 성장을 위한 심리학』. 수문사, 2019
고영복. 『인본주의 심리학』. 사회문화연구소, 2000.
대한간호학회. 『행동주의심리학』. 한국사전연구사, 1996.
강영희. 『행동주의[심리학]』. 도서출판 여초, 2014.
서유헌, 『인체기행』. 2009.
세화 편집부, 『화학대사전』. 세화, 2001.
질병관리본부. 『말기암환자』. 국가건강정보포털, 2016.
우에노 치즈코.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 송경원. 어른의 시간, 2016.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인천성모병원 간호부 권지은 간호사] 예비 간호사에게 전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인청성모 스토리』, 2019.
728x90
반응형